2025년 서울시 은평구 출산, 양육 지원정책 완벽가이드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들은 출산과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신 전부터 출산까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지원정책이 있고, 양육을 위한 정책도 다양합니다. 아래에서는 상황에 따라 세분화하여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2025년 서울시 은평구 출산, 양육 지원정책 개요
정부와 지자체는 저출산문제, 출산 및 양육에 따른 경제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정부 지원정책은 거주지에 상관없이 모두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거주지에 따라서는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이 달라집니다. 이런 정책들은 정부24 홈페이지, 복지로 홈페이지, 지자체 홈페이지 등에서 모두 확인이 가능하지만, 너무나 많은 정책들이 여기저기에 흩어져서 안내가 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임신, 출산 가정에서 이러한 정책들을 일일이 다 찾아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지원받을 수 있음에도 알지 못해 놓치는 경우가 있고, 알면서도 충분한 정보가 없어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저는 꾸준히 이런 출산,양육 지원정책을 블로그에 정리해 왔습니다. 다만, 글을 쓰면서도 제대로 정보가 전달이 되고 있을까? 충분히 내용을 이해했을까? 하는 고민을 해 왔습니다. 한편으로는 이런 정책까지 굳이 소개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고민 끝에 기존에 출산, 양육 지원정책에 대한 글을 쓰는 것과 방식을 바꾸어서 최대한 가이드북에 가깝게 작성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래에서는 내용이 많을 수 있지만, 가급적 모든 내용을 전달하면서도, 핵심적인 내용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은평구에서 출산, 양육을 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지원정책들을 임신 전과 후, 출산 후, 보육 및 돌봄지원으로 구분하여 소개합니다.
- 임신 전 지원정책 : 임신 전 난임부부 등을 지원하는 정책들입니다.
- 임신 후 지원정책 : 임신 중 임산부, 태아를 위한 지원정책들입니다.
- 출산 후 지원정책 : 출산 직후 받을 수 있는 지원, 바우처사업들입니다.
- 보육 및 돌봄 지원정책 : 출산 이후 보육 및 돌봄과 관련된 지원정책입니다.
임신 전 지원정책
아래에서는 임신 전, 임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정보들을 모아두었습니다. 이미 임신 및 출산을 하였다면 굳이 읽어보지 않아도 되는 정책들입니다.
- 임신 사전건간강관리 지원사업 : 필수 가임력 검사 의료비 지원
- 은평 한방 난임치료 지원 : 난임부부 한약, 약침 치료비 전액 지원
- 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 : 난임부부 한약비용 지원, 자부담금 10%
- 난임(불임)부부 시술비 지원 : 체외, 인공수정 출산당 25회, 최대 110만 원 지원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건강한 임신, 출산을 위해 필수 가임력 검사 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20 ~ 49세 남녀 중 검사를 희망하는 자
- 내용 : 필수 가임력 검사항목을 포함하여 한도 내 검사비 지원
- 여성 : 난소기능섬사, 부인과 초음파 포함 최대 13만 원 지원
- 남성 : 정자정밀형태검사 포함 최대 5만원 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또는 온라인 신청
- 위치 : 은평구 보건소 3층 모자건강센터
- 문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609
은평 한방 난임치료 지원
난임부부 가정에 한방 난임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 대상 : 원인불명 난임부부
- 내용 : 한약 3개월분, 약침 총 30회 범위 내에서 치료비 전액 지원
- 신청방법 : 방문 혹은 등기우편 신청
- 위치 : 은평보건소 5층 예방관리과
- 문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672
서울시 한의약 난임 치료지원
서울시에서 난임부부 가정에 한방 난임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은평 한방 난임치료지원과 달리 자기 부담금이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 대상 : 원인불명 난임부부
- 내용 : 한약 3개월분, 치료비 90% 지원(자기부담금 10%)
- 신청방법 : 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홈페이지에 온라인 신청
- 상세정보 확인 :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
- 문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672
난임(불임)부부 시술비 지원
난임부부 가정에 체외수정, 인공수정 시술비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모든 난임부부
- 내용 : 체외수정, 인공수정 출산당 25회 지원, 1회당 최대 110만 원까지 지원
- 신청방법 및 상세지원내용 :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
- 문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35
임신 중 지원정책
아래에서는 임신 중 지원받을 수 있는 정부 및 은평구 지원정책입니다. 총 6건으로 각각의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울시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 의료비 50만 원 지원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19종 고위험 임신질환의 의료비 지원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 산모의 건강관리와 태아의 건강한 분만 위한 바우처 지원
- 임산부 엽산제, 철분제 지원 : 엽산제, 철분제 지원
- 영양 플러스 사업 : 임산부, 영유아에 대한 영야식품 및 교육 지원
- 모자 건강교실 :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정보 제공
서울시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서울시 거주 35세 이상 임산부에게 의료비 50만 원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신청기간이 있으니 확인 후 늦지 않게 지원하시지 바랍니다. 아래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원대상 : 서울시 거주 35세 이상 임산부(분만예정일 기준 35세 이상)
- 지원내용 : 임신기간 중 임산부 외래 진료 및 검사비, 임신회당 최대 50만원
- 신청기간 : 임신 확인 이후부터 출산 후 6개월 이내 신청
- 신청방법 :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지원방법 : 서류 심사 후 1개월 이내 임산부 본인 명의 통장으로 입금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824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9종 고위험 임신질환의 의료비를 지원해 드립니다. 19대 고위험 임신질환과 지원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받은 자
- 대상질환 : 조기진통, 분만간련 출혈, 중증 임신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절박유산,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분만 전 출혈, 자궁경부무력증, 고혈압, 다태임신, 당뇨병,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신질환, 심부전, 자궁 내 성장 제한,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 내용 : 고위험 임산부 입원치료비 중 전액 본인부담금고ㅘ 비급여 본인 부담금 중 제외항목(상급병실료, 특식 등) 제외 금액의 90%를 1인당 300만 원까지 지원
- 신청방법 : 은평구 보건소 5층 예방관리과 방문, 은평구보건소 홈페이지 신청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ㅗ 02-351-8216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산모의 건강관리와 태아의 건강한 분만을 지원합니다.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진료비를 바우처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대상,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 임산부
- 내용 :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진료비를 국민행복카드로 임신 1회당 100만 원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 원 지원
- 사용기간 : 출산일 이후 2년까지 사용가능
- 문의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임산부 엽산제, 철분제 지원
임산부에게 꼭 필요한 엽산, 철분제를 지원해 드립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참고하세요.
- 대상 : 은평구 거주 임산부
- 내용 : 엽산제, 철분제 지원
- 엽산제 : 임신 확인 ~ 임신 3개월(12주)까지 지원, 1인 3개월분
- 철분제 : 임신 16주 이상 ~ 분만 전까지 지원, 1인 6개월분
- 신청 및 수령 : 은평구 보건소 3층 모자건강센터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10
영양 플러스 사업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려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는 태아 및 영유아의 미래 건강을 위해, 영양 측면의 위험성이 높은 임산부 및 영유아에 대한 영양교육 및 영양식품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아래에서 상세한 내용을 참고합니다.
- 대상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인 임산부 및 만 66개월 이하 영유아 중 영양위험요인을 가진 자
- 영양위험요인 : 빈혈, 저체중, 성장 부진, 영양섭취상태불량 등
- 내용
- 보충식품 제공 : 월 1 ~ 2회
- 영양 교육 : 대면, 우편, 온라인, 가정방문
- 영양평가 : 6개월 1회
- 신청 및 문의처 : 은평구 보건소 3층 영양플러스 02-351-8245, 8246, 8247
모자건강 교실
임산부, 남편을 대상으로 임신, 출산, 육아 관련 건강교실을 운영합니다. 특히, 처음 임신을 하는 부부들의 막막함을 보건소에서 함께 공부하고 해결하는 정책입니다.
- 대상 : 임산부 및 임신부부
- 내용 : 임신, 출산, 육아 관련 건강교실 운영
- 온라인 접수 : 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홈페이지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34
출산 후 지원정책
정부 및 은평구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출산 후 지원정책입니다.
- 서울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사업 : 출생하 1명당 산후조리 비용 100만 원 바우처 지급
- 유축기 대여 : 유축기 무료 대여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산후 건강관리 바우처 지급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 전문교육을 받은 영유아간호사가 방문하여 임산부, 영아 건강평가
- 출산가정 방문간호사 온, 오프라인 서비스 지원 : 출산가정의 건강문제를 온, 오프라인으로 지원
- 생애초기 건강관리 사업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과 동일한 지원
-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 관리 :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의 의료비 및 특수식이 지원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 미숙아와 선천성 이상아 출산가정에 의료비 지원
- 영유아 건강검진 지원 : 의료급여수급권자 영유아 건강검진 비용 지원
- 신생아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 신생아의 난청 선별 및 재검검사비 및 보청기 지원
-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 :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정밀검사가 필요한 경우 검사비용 일부를 지원
- B형 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 B형간염 항원양성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유아의 검사비용 및 접종비용을 지원
- 국가필수 예방접종 : 12세 이하 어린이의 감염병 예방을 위해 국가예방접종을 무료로 실시
- 소아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만 18세 미만 소아암환자의 의료비 지원
- 다태아 안심보험 : 서울시 거주 다태아에게 안심보험 자동가입 및 보장
서울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사업
출산 후 산모가 충분한 돌봄을 받으며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산후조리 경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둔 관내 산모
- 내용 : 산후조리비용 출생아 1명당 100만 원 바우처 지급(쌍둥이 200만 원, 세 쌍둥이 이상 300만 원)
- 신청방법 : 주민센터 방문,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39
유축기 대여
모유수유 중인 수유부에게 유축기를 무료로 대여하는 지원입니다.
- 대상 : 은평구 거주 모유수유 중인 수유부
- 신청방법 : 출산 후 은평구 보건소 모자건강센터 예비맘관리실에 전화로 예약신청
- 문의처 : 은평구 보건소 모자건강센터 예비맘관리실 02-351-8210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출산 후 아직 회복되지 않은 몸으로 아기를 돌보고 집안일을 하기 벅찬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은평구 출산가정
- 내용 : 산후 건강관리를 위한 바우처 지급, 가정방문서비스 지원(산후 관리, 신생아 돌봄, 가사지원 등)
- 신청방법 : 은평구보건소 홈페이지, 복지로 홈페이지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06, 8228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 생애초기 건강관리 사업
갓 태어난 아이가 있는 가정에 전문교육을 받은 영유아방문간호사가 직접 찾아가, 임산부의 건강과 영유아의 건강을 평가해 주는 지원입니다. 상세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임신 20주 이상 임산부 및 출산가정(8주 이내)
- 내용
- 임산부 건강평가 : 신체사항, 영양 및 식이, 산후조리, 산후우울증 등
- 영유아 건강 사정 및 평가 : 체중변화, 황달, 피부상태, 배꼽, 대소변 양상
- 육아상담 : 모유수유법, 신생아돌보기, 아기울음 및 달래기, 재우기 등
- 부모교육 자료제공,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일정 확인
- 신청방법 : 은평구보건소 홈페이지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10
출산가정 방문간호사 온, 오프라인 서비스 지원
출산가정의 건강문제를 온, 오프라인 서비스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지원내용이 다르니 참고하시고,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생후 2년 미만의 출산가정
- 온라인 지원 : 육아상담, 모자 건강교육, 자조모임
- 오프라인 지원 : 모유수유 클리닉, 베이비 마사지
- 신청방법 : 은평구보건소 홈페이지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10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 관리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의 의료비와 특수조제분유 및 저단백햇반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지원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19세 미만 선천성대사이상 환아
- 지원내용
- 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비 지원 : 외래 선별검사비 본인부담금 지원
- 선천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 : 연 25만 원 범위 내에서 의료비 지급
- 그 외 선천성대사이상 환아 : 특수조제분유 빛 저단백햇반 지원
- 신청방법 : 은평구 보건소 방문 신청, 단, 의료비 지원신청의 경우 아이마중 앱,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등으로 온라인 신청 가능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821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미숙아와 선천성 이상아 출산가정에 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상세 지원대상과 지급액, 신청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가구 소득과 관계없이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 미숙아 : 임신 37주 미만 또는 체중 2,500g 미만으로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신생아집중치료시(NICU)에 입원한 미숙아
- 선천성이상아 : 출생 후 2년 이내에 선천성이상(Q코드)으로 진단받고, 선천성이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려 출생 후 2년 이내에 입원하여 수술한 경우
- 지원내용 : 미숙아 최대 1천만 원, 선천성이상아 최대 5백만 원 이내 지원
- 신청기간 : 최종 퇴원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신청방법 : 은평구 보건소 방문 신청, 아이마중 앱,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등으로 온라인 신청 가능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821
영유아 건강검진 지원
의료급여수급권자 영유아 건강검진 비용을 지원합니다. 생후 66 ~ 71개월에 해당하는 8차 건강검진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 6세 미만 영유아 건강검진 대상자
- 내용 : 의료급여수급권자가 영유아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병원에서 시행한 검진비 지원
- 대상검진 : 1 ~ 8차 일반검진, 4 ~ 7차 구강검진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39
신생아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신생아의 난청 선별 및 재검검사비, 보청기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력 등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는 보청기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상세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지원내용
- 신생아 난청 외래선별검사비 본인부담금 지원
- 난청 확진검사비 지원
- 보청기 지원 : 객당 135만 원 한도
- 청력에 따른 지원 내용
- 양측성 난청이면서 청력이 좋은 귀의 평균 청력역치가 40 ~ 59dB로써, 청각장애등급을 받지 못하는 난청의 경우 : 보청기 2개 지원
- 나쁜 귀의 평균 청력역치가 55dB 이상이면서 좋은 귀의 평균청력역치가 40dB 이하인 경우 : 보청기 1개 지원
- 신청방법 : 은평구 보건소 방문신청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35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정밀검사가 필요하신 분에게 검사비용의 일부를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가구 상황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영유아 건강검진 발달평가에서 "심화평가 권고"로 판정된 영유아
- 내용 : 정밀검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검사 및 진찰료 지원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 최대 40만 원
- 건강보험가입자 및 피부양자 : 최대 20만 원
- 신청방법 : 은평구 보건소, 건강IN 홈페이지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39
B형 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B형간염 항원양성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유아의 검사비용 및 접종비용을 지원합니다. 상세한 지원 대상과 지원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B형간염 항원양성(HBsAg) 또는 e항원양성(HBeAg)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유아 중 산모검사결과지 제출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자
- 내용
- 면역글로불린 투여 : 1회
- B형간염 예방접종 : 3회
- 항원, 항체 정령검사 1차 비용지원(항원, 항체 검사 결과에 따라 재접종 최대 3회 및 재검사 최대 2회 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및 지정 위탁의료기관에 산모검사결과지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제출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14,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국가필수 예방접종
12세 이하 어린이를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국가예방접종의 접종비용 전액을 지원합니다. 대상 국가예방접종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12세 이하 어린이
- 지원내용 : 아래 국가예방접종 접종비용 전액 지원
- 참고사항 : 아래 백신의 경우 지원연령 제한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결핵 : 생후 59개월까지 지원, 단, 3개월 이상 영유아는 TST결과 음성인 경우 지원
- B형해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균 : 생후 59개월까지 지원, 단, 고위험군 소아는 생후 59개월 이상에도 지원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 생후 8개월 0일까지 지원, 단, 1차 접종의 경우 생후 14주 6일까지 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및 지정 위탁의료기관에 산모검사결과지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제출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14,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소아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소아암 치료에 필요한 의료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입니다. 아래에서 상세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은평구 거주 18세 미만 소아암환자
- 지원암종 : 전체암종 중 상병코드 C코드, 일부 D코드
- 선정기준 : 의료급여수급권자는 당연선정, 건강보험가입자는 가구 월평균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3인가구 기준 6,030,424원)
- 지원내용 및 연간지원한도
- 백혈병 : 3,000만 원
- 백혈병 이외 : 2,000만 원
- 조혈모세포이식 : 3,000만 원
- 신청 및 문의처 : 은평구 보건의료과 02-351-8263
다태아 안심보험 지원
서울시 거주 다태아는 안심보험에 자동가입되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가입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청 및 가입 절차가 없으며, 보장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청구하면 됩니다. 자세한 보장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24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서울시 거주 다태아
- 보장기간 : 출생일로부터 2년
- 보장내용
- 응급실 내원비 : 내원 시 3만 원
- 특정전염병 진단비 : 홍역, 볼거리, 일본뇌염 등 감염 후 치료받은 경우 30만 원
- 골정 및 화살 수술비 : 30만 원
- 상해 또는 질병 치료 입원비 : 상해 입원 하루 7만 원, 질병 입원(수술 필요시) 하루 5만 원
- 암 진단비 : 피부암 및 갑상선암을 제외한 암 진단 시 최대 3,000만 원
- 보험금 청구방법 : 메리츠화재보험 다태아 출생보험 간편청구센터 홈페이지 이용
- 구비서류 : 보험금청구서,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동의서, 주민등록등본 및 출생증명서, 진료비영수증, 통장사본 등
- 문의처 : 메리츠화재보험 고객센터 1522-654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02-810-5219
보육 및 돌봄 지원정책
정부 및 은평구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보육 및 돌봄 지원정책입니다.
- 아이맘 택시 : 은평구 임산부, 영유아가정을 위한 택시비 지원사업
- 서울 엄마아빠택시 사업 : 24개월 이하 양육가정을 대상으로 영아용 카시트가 장착된 택시 이용권 지원
-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교통비 70만 원 지급
-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 :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에 가사서비스 이용 바우처 70만원 지급
- 서울형 아이 돌봄비 지원사업 : 24 ~ 36개월 이하 영아가 있는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영아 1명당 30만원 지원
- 은평구 아이돌봄 지원 : 맞벌이 등이 사유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아이돌보미를 파견하는 서비스
- 첫 만남이용권 : 출산아동 1인당 200만 원 이상을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급
- 해산급여 지원 : 국민기초수급자가 출산한 경우 1인당 70만 원을 지급
- 출산 급여(출산 전후 급여) : 임신 중인 여성, 유산, 사산한 여성에게 급여를 지급
-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 소득활동을 하지만 고용보험 미적용으로 출산전후 휴가 급여 지원을 받지 못하는 출산 여성
-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조제분유를 지원
- 가정양육 수당 지원 :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는 영유아 가정양육수당을 지원
- 부모급여 지원 : 2세 미만 영유아에게 연령별 부모급여를 지원
- 아동수당 지원 : 0 ~ 95개월 아동에게 아동수당을 지원
- 보육료 지원 : 5세 이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에게 보육료 지원
- 시간제 보육 지원 : 6 ~ 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시간단위로 보육서비스 이용요금 지원
- 야간연장형 어린이집 : 거점형 야간보육어린이집과 365열린어린이집을 이용해 야간 돌봄 서비스 제공
- 한부모가족 자녀 아동양육비 지원 :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아동양육비 지원
아이맘택시
은평구 임산부 및 24개월 이하의 자녀를 둔 가정에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이용 대상 및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은평구 임산부 및 24개월 이하의 자녀를 둔 가정
- 지원내용
- 의료목적으로 병원에 방문하는 경우
- 14시 이후 은평구내 어린이집, 도서관, 문화센터, 영유아 관련 공공시설 방문하는 경우
- 위 경우에 전용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연 10회 이용권을 제공
- 이용시간 : 평일 08:30 ~ 18:00, 토요일 08:30 ~ 13:30
- 단, 병원동행서비스는 평일 오전 11시 30분까지 이용가능
- 신청방법 : 아이맘택시 앱을 이용해 신청 및 사전예약, 영수증 제출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2
서울 엄마아빠 택시사업
서울시에 거주하는 24개월 이하 영아를 양육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영아용 카시트가 장착된 택시 이용권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아래에서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서울시 거주 24개월 이하 영아 양육가정
- 내용 : 영아용 카시트가 장착된 택시 이용권(포인트) 연 10만 원 지원
- 신청방법 :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에서 신청
- 문의처 : 다산콜센터 02-120,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2
세부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상세이용방법 링크에서 추가적인 내용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서울시 거주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3개월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70만 원의 교통비를 바우처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아래에서 기본적인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서울시 거주 임신 3개월 ~ 출산 후 3개월의 임산부
- 외국인제외, 단, 다문화가족 외국인 임산부는 지원
- 내용
- 임산부 1인당 신용 및 체크카드에 70만원 바우처 지급
- 대중교통 이용비, 자가용 유류비로 사용가능
- 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후 타시도 전출 시에도 계속 사용 가능
- 사용기간 : 분만예정일(임신 중 신청자) 또는 출산 후(출산 후 신청자) 6개월까지 사용가능
- 신청방법 : 정부24 홈페이지, 서울시 임산부교통비지원 홈페이지에서 신청가능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2
세부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상세이용방법 링크에서 추가적인 내용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의 가사노동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가사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아래에서 기본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서울시 거주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구(중위소득 180% 이하)
- 내용 : 가정방문을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 취사, 아이돌봄, 반려동물, 입주청소등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지원내용 : 1가구당 70만 원 내 바우처 포인트를 지급
- 신청방법 :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신청가능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4
세부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해당 링크에서 추가적인 내용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사업
24 ~ 36개월 이하 영아가 있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아이돌봄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기존 정부에서 지원하는 아이돌봄비 지원사업가는 다릅니다. 아래에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24 ~ 36개월 이하 영아가 있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내용 : 아이를 기준으로 4촌 이내 친인척, 아이돌봄비 지원,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권 지원
- 지원금액 : 영아 1명당 월 30만 원
- 신청방법 :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에서 신청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6
은평구 아이돌봄 지원
맞벌이 등의 사유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아이돌보미를 파견하여 1:1 아이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아래에서 상세한 내용을 안내합니다.
- 대상 : 생후 3개월 이상 ~ 12세 이하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
- 내용
- 서비스 이용요금 시간당 12,180원 지원(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 적용)
- 서비스 제공시간 : 시간제 연 960시간 내, 종일제 월 200시간 내
- 신청방법 :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동 주민센터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6
첫 만남 이용권
정부에서는 모든 출산가정에 출생아동 1인당 첫 만남이용권 200만 원 이상을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급합니다.
- 대상 : 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1년이 초과되지 않은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내용 : 출생아동 1인당 200만원 이상을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급(첫째아 200만 원, 둘째아 이상 300만 원)
- 신청방법 : 출생신고 후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복지로, 정부24 홈페이지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3
해산급여 지원
국민기초수급자가 출산한 경우(출산예정 포함) 1인당 70만 원을 지급합니다. 대상 및 신청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생계, 의료, 주거급여 수급자가 출산한 경우(출산예정 포함)
- 지원내용 : 1인당 70만원 지급
- 신청방법 : 동 주민센터에 신청, 행복 출산 원스톱서비스에서 한 번에 신청가능
- 문의처 : 은평구 생활복지과 02-351-7056
출산 급여(출산 전후 급여)
임신 중 여성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출산으로 인한 여성근로자의 이직을 방지하기 위해 급여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유산, 사산을 한 경우에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임신 중인 여성, 임신 중 유산한 여성, 임신 중 사산한 여성
- 지원요건
- 근로기준법의 출산전후, 유산사산휴가를 사용했을 것
- 휴가가 끝난 날 이전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일 것
- 휴가 시작일 이후 1개월부터 휴가 종료일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
- 지원내용
- 최초 60일(다태아 75일) : 정부에서 최대 월 210만 원 휴가 급여 지급, 사업주가 통상임금과 210만 원의 차액분 지급
- 마지막 30일(다태아 45일) : 정부가 통상임금 지급(최대 210만 원)
- 문의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1인 사업자, 자유 계약자와 같이 소득활동을 하지만 고용보험 미적용으로 출산전후 휴가 급여를 지원받지 못하는 출산 여성에게도 출산급여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대상 및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소득활동을 하지만 고용보험 미적용으로 출산전후 휴가급여를 지원받지 못하는 출산 여성
- 비임금근로자 : 1인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자유계약직
- 임금근로자 : 초단기시간근로자, 4인 이하 농림어업, 고용보험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수급요건 미충족자
- 내용 : 매월 50만 원씩 3개월, 총 150만 원 지급
- 신청시기 : 출산일부터 출산 후 1년 이내에 신청
- 문의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신청방법 및 세부적인 내용은 해당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와 조제분유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기저귀와 조제분유 지원대상이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기저귀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및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장애인 또는 다자녀 가구의 24개월 이하 영유아
- 조제분유 대상 : 기저귀 지원대상 중 산모의 질병, 사망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아동복지시설, 가정위탁 및 부자 조손 가정 양육 영아
- 지원내용 : 기저귀 9만 원, 조제분유 11만 원 지원
- 신청방법 : 관할 동 주민센터, 보건소
- 문의처 : 은평구 예방관리과 02-351-8206, 8228
가정양육 수당 지원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는 24 ~ 86개월 미만 영유아에게 가정양육수당을 지원합니다. 대상 및 지원내용,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어린이집, 유치원(특수학교 포함),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영유아
- 내용
- 양육수당 : 24 ~ 86개월 미만 10만 원
- 장애아동 양육수당 : 24 ~ 36개월 미만 20만 원, 36 ~ 86개월 미만 10만 원
- 신청방법 : 동 주민센터 방문,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 문의처 : 은평구 영유아지원과 02-351-7119
부모급여 지원
2세 미만 영유아에게 연령별로 부모급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3년도부터 시행된 정책으로 25년에는 그 지급액이 더 커졌습니다. 아래에서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2세 미만(0 ~ 23개월) 아동
- 내용 : 가정양육 시 지원금 전액을 지급하고, 어린이집,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바우처를 지급 후 차액을 현금으로 지급
- 상세지원내용
- 0세 : 가정양육시 현금 100만 원, 어린이집 등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54만 원 + 현금 46만 원
- 1세 : 가정약육시 현금 50만 원, 어린이집 등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47.5만 원 + 현금 2,5만 원
- 신청방법 : 동 주민센터 방문,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 문의처 : 은평구 영유아지원과 02-351-7119
아동수당 지원
대한민국 국적의 0 ~ 95개월 아동은 아동수당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호자가 아니라 연령이 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외국인 부모 등 특수한 경우에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 대한민국 국적의 0 ~ 95개월 모든 아동
- 내용 : 매달 25일 월 10만 원 지급
- 신청방법 : 동 주민센터,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 유의사항
-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월부터 소급지급
- 아동의 국외 체류기간이 90일 이상 지속 시 급여정지
- 문의처 : 은평구 영유아지원과 02-351-7133
보육료 지원
5세 이하 아동 중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를 지원합니다. 지원내용 및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0 ~ 5세 아동
- 내용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0 ~ 5세 아동 보육료 지원
- 0세 : 54만 원
- 1세 : 47만 5천 원
- 2세 : 39만 4천원
- 3~5세 : 28만원
- 연장보육료 : 0세, 장애반 3천 원, 영아반 2천 원, 유아반 1천원
- 신청방법 : 동 주민센터,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 문의처 : 은평구 영유아지원과 02-351-7113
시간제 보육지원
6 ~ 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시간단위로 보육서비스를 이용하고 이용한 시간만큼 정부에서 보육료를 일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용시간 및 지원금액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6개월 ~ 36개월 미만 영아
- 보육료 : 시간당 5천원 - 정부지원 3천원, 부모부담 2천원
- 지원시간 : 월 60시간
- 운영시간 : 평일 09:00 ~ 18:00, 주말 및 공휴일은 제외
- 신청방법 : 아이사랑 홈페이지 신청, 전화신청 1661-9361
- 문의처 : 은평구 영유아지원과 02-351-8940
야간연장형 어린이집
거점형 야간보육어린이집과 365열린어린이집으로 지정된 어린이집에서 야간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각 어린이집 별 상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거점형 야간보육어린이집
- 대상 : 모든 미취학 영유아
- 운영시간 : 평일 16시 ~ 22시
- 보육료 : 없음, 식비 별도
- 신청방법 : 서울시보육포털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예약
- 365열린어린이집
- 대상 : 서울시 거주 6개월 이상 6세 이하의 미취학 영유아
- 운영시간 : 365일 07:30 ~ 익일 07:30, 단, 1월 1일, 설, 추석, 크리스마스 제외
- 보육료 : 시간당 3,000원 본인부담, 1식 당 2,200원 식비 별도
- 신청방법 : 서울시보육포털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예약, 성모자애어린이집 유선으로 신청 02-354-1400
- 문의처 : 은평구 영유아지원과 02-351-7117
한부모가족 자녀 아동양육비 지원
저소득 한부모가족 자녀의 아동양육비를 지원하여 생활안정에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및 지원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한부모가족지원법상 한부모가족
- 지원내용
- 18세 미만의 자녀 1인당 매월 23만 원 지원
- 청년한부모(25~34세)의 5세 이하 자녀는 10만 원 추가지급, 6세 이상 17세 이하 자녀는 5만 원 추가 지급
- 35세 이상의 미혼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자녀 5만원 지원
- 신청방법 : 동 주민센터에서 한부모가족 신청 및 상담
- 문의처 : 은평구 가족정책과 02-351-6226
'2025년 지자체별 출산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상세정보 (0) | 2025.05.15 |
---|---|
2025년 서울시 강남구 임신지원정책 상세정보 (0) | 2025.04.30 |
2025년 서울시 강서구 출산지원금 및 출산혜택 상세정보 (1) | 2025.04.28 |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 상세정보 (0) | 2025.04.22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 상세정보 (0) | 2025.04.21 |
댓글